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서민금융지원, 역대 최대 규모 11조 8000억 공급
    정부정책 2025. 3. 3. 19:22
    반응형

    정부에서 올해 정책서민금융 지원 규모를 당초 10조 8000억 원에서 1조 확대해 역대 최대 규모인 11조 8000억 원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서민금융 지원 강화 방안 발표
    사진 연합뉴스

     

    정책서민금융 지원 확대

    정책 서민금융 공급액 확대: 10조 8000억 원에서 11조 8000억 원으로 증액

     

    주요 상품 조기 공급: 근로자햇살론, 햇살론15,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등 상반기 중 60까지 조기 공급

     

    불법사금융 예방 대출 확대: 공급액 1000억 원에서 2000억 원으로, 최초 대출 한도 5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확대

     

    (ex. 저신용자의 경우, 기존에 불법 사금융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지만, 불법사금융 예방 대출 확대를 통해 100만 원을 대출받아 급한 불을 끄고 제도권 금융으로 편입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바로 생활하는 대학생의 경우는 햇살론 유스 확대를 통해 학업에 필요한 자금을 낮은 금리로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중앙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 붙은 햇살론 안내문
    사진 연합뉴스

     

    민간서민금융 활성화

    민간 중금리 대출 공급 확대: 33조 원에서 36조 8000억 원까지 확대 유도

     

    사잇돌 대출 대상 확대: 저신용자에서 중저신용자까지 확대

     

    은행 자체 채무조정 활성화: 모바일 앱을 통한 채무조정 요청 가능

     

    인터넷전문은행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목표 강화: 평잔 및 신규취급액 30% 이상 기준 추가

     

    (ex. 신용등급이 낮은 경우 기존 은행 대출이 어려웠지만, 사잇돌 대출 대상 확대를 통해 은행에서 중금리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https://www.kinfa.or.kr/main.do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서민금융상품(근로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유스, 미소금융), 서민생활지원, 휴면예금 지급서비스 제공

    www.kinfa.or.kr

     

    채무조정 확대

    채무조정 특례 상시화: 연체 우려자, 단기 연체자 대상 채무조정 지원

     

    취약계층 맞춤형 채무조정 강화: 노령층, 기초수급자, 중증장애인 대상 미상각채권 원금 최대 50% 감면

     

    개인워크아웃 청년 대상 지원 확대: 일시 완제 시 잔여채무 원금 감면 폭 확대

     

    정책 비교

    정책 주요 내용 기대효과 대상
    정책서민금융 지원 확대 공급액 증액, 상품 조기 공급,
    불법사금융 예방 대출 확대,
    햇살론 유스 확대
    서민층 금융 접근성 향상,
    불법 사금융 피해 예방,
    청년층 자립 지원
    저신용자,
    영세 자영업자,
    청년층
    민간서민금융 활성화 민간 중금리 대출 공급 확대,
    사잇돌 대출 대상 확대,
    은행 자체 채무조정 활성화,
    인터넷전문은행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목표 강화
    민간 금융회사의 서민금융 지원 확대,
    금융 시장 경쟁 촉진,
    금융 소비자 선택권 확대
    중저신용자
    채무조정 확대 무조정 특례 상시화,
    취약계층 맞춤형 채무조정 강화,
    개인워크아웃 청년 대상 지원 확대
    채무자의 재기 지원,
    금융 건전성 확보,
    사회적 안전망 강화
    연체 우려자,
    단기 연체자,
    취약계층,
    청년층

     

    문의

    기재부 경제정책국 자금시장과 (044-215-2750)

    기재부 민생안정지원단 (044-215-2861) 

    금융위 금융소비자국 서민금융과 (02-2100-2610) 

    금융위 금융산업국 중소금융과 (02-2100-2990) 

    금융위 금융산업국 은행과 (02-2100-2950) 

    중기부 글로벌성장정책관실 기업금융과 (044-204-752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